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역사가 이뤄지던 당시, 전 세계가 트위터로 #북미정상회담 #TrumpKimSummit 을 시청했습니다.
북한과 미국의 지도자들이 역사상 처음으로 만난 북미정상회담은 트위터 상에서 글로벌 35개 매체가 한국어, 영어, 일본어로 실시간으로 중계하며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싱가폴에서 진행된 트럼프-김정은의 #북미정상회담 을 보기 위해 550만명이 넘는 시청자들이 트위터로 몰려들었습니다.
트위터는 이번 #북미정상회담 과 관련해 각국의 정치 지도자와 언론인, 인권운동가를 포함한 전세계 국민들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보고,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유일한 플랫폼이었습니다.
회담이 확정된 6월 1일부터 회담 종료 후 다음 날인 6월 13일까지 약 400만 건의 트윗이 쏟아지며, 역사상 처음으로 이뤄지는 미국 대통령과 북한 지도자의 만남에 주목했습니다. 아래는 6월 12일 #북미정상회담 의 실시간 트위터 반응을 보여 주는 글로벌 ‘히트맵(heatmap)’입니다.
분당 트윗수 기준으로 가장 많은 트윗이 몰렸던 화제의 순간은 오전 10시 4분경 두 정상이 만나 악수하던 순간으로, 분당 5,200건의 트윗이 전세계에서 발생했습니다.
두 개의 라이브 블루룸을 갖춘 뉴스 파트너들은 트위터가 혁신적이며, 참여하고자 하는 대중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플랫폼임을 보여줬습니다.
블룸버그의 Tic Toc은 블룸버그의 최초 생중계 블루 룸을 트위터에서 진행했으며, 한국 기자인 이지혜(@TheJihyeLee)와 워싱턴의 수석 특파원 Kevin Cirilli(@kevcirilli)가 블룸버그 TV 앵커인 Yvonne Man(@YvonneManTV)와 함께 해시태그 #TalkTrumpKim로 올라온 질문에 답변하는 블루룸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습니다.
또한, 싱가포르 현지에서 개최되는 한국언론진흥재단(KPF) 주최 ‘한반도 평화토론회’가 아리랑국제방송 트위터 계정(@ArirangWorld) 을 통해 전세계로 단독 생중계되었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으로 아리랑TV는 6월 11일 오후 4시(한국 기준)부터 6시까지 ‘북미 정상회담 전망과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트위터 라이브 블루룸을 120분 간 진행했습니다. 진행은 워싱턴 포스트의 안나 피필드(@annafifield)도쿄-서울 지국장이 맡았으며, 김준형 한동대 교수, 김지윤 아시아 정책연구위원, 존 델러리(@JohnDelury) 연대 국제학대학원 조교수 등이 패널로 참석했습니다. 이 자리에는 내외신 기자 300여 명도 함께 했습니다.
또한 전 세계의 뉴스 파트너들은 정상 회담 관련 이야기와 대화, 그리고 어떤 댓글들이 달렸는지를 전달하기 위한 모멘트를 쏟아냈습니다.
트위터는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전문가들의 분석 트윗들과 대한민국 국민들이 대화에 참여하는 것을 통해, 트위터가 지금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보여 주는 가장 좋은 플랫폼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습니다. 두 지도자들의 공동 성명과 함께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기다려지는 가운데, 트위터는 한반도를 포함해서 세계 어느 곳에서도 대화가 끊기지 않는 플랫폼이 될 것입니다.
쿠키가 무엇인지 궁금하신가요?
X와 그 파트너는 사용자에게 보다 우수하고 안전하면서도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당사의 비즈니스를 운영하기 위해 쿠키를 사용합니다. 일부 쿠키는 당사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한편,
서비스를 개선하고 이러한 서비스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선택 사항 자세히 보기.